이제 며칠만 지나면 내 나이 마흔이 된다.

만 나이로 친다면 아직 멀었지만 우리나이로 마흔이 되는 것이다.

나의 졸렬하고 용렬한 삶을 성인의 그것에 비교할 수야 없겠지만, 공자는 서른에 몸을 세우고(而立)하고,

마흔이 되어 불혹(不惑)을 이루었다고 한다.



공자가 말하는 立은 '홀로 선다‘는 뜻이다.

작게는 부모나 친지의 도움이 없이 자력으로 '선다'는 것이고, 크게는 자기가 건설하고자 하는

인생에 대한 대강의 청사진을 완성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생의 방향감각을 완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다면 내 나이 서른에 학업을 마치고 어설퍼나마 상장회사에 취직을 하였고 一家를 이루었으며

두 아이를 가진 가장으로서 가정을 꾸렸으니 적은 의미로는 홀로 섰다고 보아야 하나,

자신의 인생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지도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날그날 닥치는 대로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으니 두 다리로 선 것이 아니라 한 쪽 다리로 위태하게 서서 마흔을 바라보는 듯하다.


마흔을 불혹(不惑)이라고 흔히들 말하고 그 의미를 유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쉽게 이야기를 하지만,

공자가 말하는 의미는 의혹(疑惑)이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의혹이 없다는 것은 학문적 지식이 체계화되고, 체계화된 지식에 바탕한 주관을 확립하고

그 주관에 대한 흔들림없는 확신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결국 공자가 말하는 불혹(不惑)이란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이 확립되어 외물과 현상변화에

현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풀어보면 나이 마흔에 불혹을 이룬 공자는 과연 2천년간이나 인간의 사표(師表)가 될 만한

인물이었음이 분명하다.


니를 돌이켜보면 주관은커녕 아집(我執)조차도 가지지 못했으니, 아침저녁으로 시시각각으로 생각이 바뀌고,

하루에 열 두번 웃다가 울며, 지나가는 작은 바람결에도 마음이 흔들리고 만다.

이 말을 듣고는 이런 생각을 하다가 저 말을 듣고는 저런 생각으로 바뀌니 그 변화무쌍함이

태풍에 부대끼는 갈잎과 같아 스스로도 종잡을 수 없다.

며칠이 지나서 마흔이 된다고 하더라도 달라질 것이 없음은 분명하다.



사십대 사내의 뒷모습은 쓸쓸하다.

술에 취해 퇴근하는 사십대 사내의 뒷모습은 한없이 쓸쓸하다.

삼십대에 뒷모습은 힘이 실려있고 아직은 메마르지 않은 윤기가 있으나 사십대의 뒷모습은

그 어깨가 메마르고 처져있다.

아이들은 그들의 사십대 아버지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님을 품에서 벗어나면서 알아가고,

허리가 굵어진 아내는 늦은 퇴근에 힘들어하는 남편의 모습이 이제는 일상화되어 더 이상 연민을 가지지 않는다.

부하직원에게는 이미 지난 세대로 공유할 그 무엇이나 새로운 그 무엇이 없는 꾸역꾸역 청승맞게

눈치보며 살아가는 구세대로 비춰질 뿐이다.

사랑이 없어 이별마저 없는 것이 사십대요, 이별이 없어서 눈물이 없어진 그들이 사십대이다.

눈 앞에 놓여진 길이 뻔하지만 이미 되돌아 나갈 길을 잃어버린, 축제를 즐기지도 못하고

사그라드는 축제의 모닥불을 봐야 하는 이가 사십대이다.



해가 너무 짧은 탓일까?

겨울 바람이 너무 메마른 탓일까?

불혹을 눈 앞에 둔 지금, 어쨌든 너무 쓸쓸하다.

2003. 12. 18 맑은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