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볼 만한 영화가 별로 없다.
딱히 영화를 광적으로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영화광인 아내의 영향인지 좋은(?)영화들은 보고 넘어간다.
대부분의 국내영화들은 늘 나오는 ‘스크린 개그맨’이 출연하여 TV의 허접한 몸짓개그보다 못한 수준의 코메디에 불과하고, 도배된 광고에 속아 한번 볼라치면 곧 바로 사기당했다는 기분에 씁쓸해지며 이들의 스크린쿼터 주장이 공허한 욕심이라는 생각이 더 굳어지기만 할 뿐이다.
그래서 국내영화는 특별한 일이 아니면 극장에서 볼 일이 없다.
얼마 전부터 아내가 “당신 수애 좋아하잖아. 그거 한 번 봐.”하면서 권한 영화가 하나 있었다.
수애와 이병헌이 출연한 “그 해 여름”이 그것이다.
눈물샘 자극하는 뻔한 영화라 생각하며 안보고 있다가 어제 늦은 밤에 혼자서 봤다.
생각했던 대로 뻔한 영화였다.
1969년 여름, 농활을 간 윤석영(이병헌)은 월북한 빨치산의 딸 서정인(수애)을 그곳에서 만난다. 그리고 황순원의 ‘소나기’같은 진부한 스토리의 사랑이 싹트고, 윤석영이 삶의 터전없는 정인에게 서울로 가자고 하여 서울로 올라오게 된다. 서울에 오자마자 이들은 시위자, 월북자의 딸이라는 신분으로 구속되어 조사받고, 정인은 감옥으로 간다. 석영의 아버지 힘으로 정인은 풀려나고 정인은 석영을 위하여 석영을 떠난다.
적어놓고 보니 뻔했던 이야기가 더 뻔해지고 만다.
그런데 말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우리가 해온 사랑의 이야기나 아니면 주위에서 들은 사랑이야기 중 뻔하지 않았던 이야기가 하나라도 있는지 한번 돌이켜 봐라.
모두 뻔하지 않은가?
사랑하고, 그로 인해 아파하고,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고, 그리운 이를 보내고 슬퍼하는 감정은 사람의 뻔한 감정이고 따라서 모든 사랑이야기는 뻔한 것이다.
그래서 뻔한 이야기는 뻔하게 풀어갈 수 밖에 없다.
그게 말이다.
“그 해 여름”도 사랑이야기이고 따라서 뻔한 주제와 뻔한 전개를 알면서도 영화가 시작되자마자 눈을 뻔히 뜨고 끝까지 보지 않을 수가 없었단 말이다.
그리고 영화가 끝난 다음에도 눈을 뻔히 뜨고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단 말이다.
눈물샘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할 기회마저 별로 없는 마흔 넘은 사내의 눈물샘이 정상임을 확인하면서.......
이 영화는 대부분의 멜로영화처럼 뻔하게 진행되지만 크게 네 가지 면에서 뻔함을 벗어나 있고, 다른 뻔한 영화와의 차별화는 여기에 있다.
먼저 뛰어난 ‘절제의 미학’를 보여준다.
절제된 표현과 묘사, 적절한 감정의 추스림, 가벼운 손잡기만으로도 그 어떤 섹스보다 짜릿한 감정을 유발시킨다.
두 번째는 nostalgia의 자극이 뛰어나다.
사랑을 의미를 알 수 있고 회고할 사랑을 간직한 사람들은 누구나 지난 사랑을 들추게 만들고 곧장 추억 속의 시간으로 데려 가버린다. 그리고 그때의 감정을 오래 끄는 여운을 준다.
이 영화의 뛰어난 그 세 번째는 심각성을 탈피했다는 거다..
많은 이별의 구조적 장치를 지닌 사랑 영화들은 처음부터 그 이별의 무게를 싣는 경향이 있는데, 이 영화는 수채화처럼 가볍게 터치하듯 심각성을 보이지 않게 천천히 극을 이끌어 가고 있어 보는 이의 감정을 서서히 물들이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주연배우인 수애와 이병헌의 연기가 뛰어나며, 특히 수애의 눈빛연기는 단연 압도적이다.
또한 주연 배우 뿐 아니라 조연들의 튀지 않는 연기를 하여, 이들은 자연스런 시골풍경의 하나가 됨으로써 영화의 배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고 있어 영화에 단숨에 그리고 깊이 몰입할 수 있다.
아차!
음악을 까먹었다.
Roy Clark의 Yesterday - When I Was Young, Maximilian Hecker - Dying, 그리고 수애가 몸짓을 섞어 부르는 노래가 있다.
개나리 고개는 눈물의 고개
올라갔다 내려올 제 님의 집 생각
달빛을 받으며 님 마중 가세
님 오신단 그 심사에 꺾던 개나리
개나리 고개에 걸린 저 달은
님 오시는 오솔길을 밝혀줄거나
개나리 고개야 너 잘 있거라
이제 가면 언제 오나 개나리 고개
후렴)
에헤야 개나리 아무렴 그렇지 개나리
지금은 어디서 개나리 생각하나
~~~~~~~~~~~~~~~~~~~~~~~~~~~~~~~~~~~~~~~~~~~~~~~~~~~~~~~~
당신을 떠올리면 내 마음은 언제나 그 해 여름입니다.
누구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지난 과거이고, 다시는 돌아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사랑은 슬픈가봅니다.
내 가장 행복했던 순간, 그 해 여름.................
2007. 4. 17 맑은날..
'생각없이 하는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둘 - A River Runs Through It <흐르는 강물처럼 OST> (0) | 2007.05.25 |
---|---|
음악 하나..... (0) | 2007.05.25 |
색즉시공 (0) | 2007.03.23 |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 (0) | 2007.03.06 |
쓰다만 이야기 <바람꽃> (0) | 200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