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과 던
<문제> 아래 보기에서 맞춤법에도 어긋나지 않고 사실에 기초한 내용은 무엇인가?
① 맑은날은 누가 시키든 안 시키든 주어진 일에 대하여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멋지게 해낸다.
② 맑은날은 누가 시키던 안 시키던 주어진 일에 대하여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멋지게 해낸다.
③ 맑은날은 하든 일도 멍석 깔아주면 머뭇거린다.
④ 맑은날은 외모만큼이나 그 내면도 멋진 사람이다.
우리말 쓰기에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든과 던입니다.
이제부터 헷갈리고 싶어도 헷갈리지 않도록 해드릴까요?
문제)
(1) 아까 그 친구가 지나 가더라. ( )
(2) 아까 그 친구가 지나 가드라. ( )
아주 쉽지요?
당근 (1)번이 맞습니다.
우리말에서 "더"는 지나간 일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요.
그리고 던은 '더'에서 나온 말이지요?
따라서 던은 지나간 일에 대한 기술을 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예) 옛날에 걸어가던 그 길이다.
문제)
(1) 많은 생각들이 스쳐갔다.
(2) 많은 생각덜이 스쳐갔다.
이것도 당근 (1)번입니다. (사실은 "들"을 빼는 것이 맞춤법에 맞습니다만 공부하자는 차원에서..)
우리말에서 "들"은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하지요.
그리고 든은 "들"에서 나온 말입니다.
"일을 하든 말든 상관하지 마라." 라고 할 때, 일을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 "둘 중에 하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요.
결론 : 던은 더에서, 든은 ~들에서 나온 말이라고 기억하면 절대 헷갈리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윗 글의 정답은....네, 복수로 나오네요.
①과 ④가 되겠습니다.
2009. 3. 17 맑은날
'아하 그렇구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오른쪽 버튼 사용불가 해제하는 법 (0) | 2009.12.10 |
---|---|
백업(backup) (0) | 2009.09.02 |
한국 스님들이 MS사 네트워크 해킹한 것으로 밝혀져.. (0) | 2008.11.18 |
오늘은 샤워 안 해? (0) | 2008.09.09 |
행라면 드셔보셨어요? (0) | 200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