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태양계, 은하계>
지구는 태양의 행성이고 지구의 크기는 태양의 1백30만분의 1 (1/1,300,000,000) 에 불과하다.
그리고 태양과 같은 별(항성)이 수천억개가 모여있는 것이 우리가 속한 은하계이다.
그런데 우주에는 우리가 속한 은하계와 같은 크기의 은하계가 수천억개가 있단다.
양손으로 모래를 가득 움켜지면 800만개(8,000,000,000) 정도의 모래알갱이가 들어간다.
이렇게 보면 우주에 있는 태양과 같은 별은 지구 전체의 모래알갱이 숫자보다 수백만배나 많다.
태양은 앞으로 50억년 정도 지나면 늙어서 거대해지다가 다시 쪼그라든다고 한다
전자가 다 도망가고 핵만 뭉쳐지는데 이때 최대로 쪼그라들면 야구공(또는 점) 크기로 쪼그라 들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덩치는 거의 없지만 중력(핵의 무게)은 어마어마한 블랙홀이 탄생한다고 한다.
우리가 속한 은하계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는데 태양계는 초속 250 km 속도로 은하핵을 중심으로 돈다고 하는데 나는 못느낀다.
<우주>
우주의 나이는 135억년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태양과 지구의 나이는 45억년 정도라고 한다.
앞으로 약 50억년 정도 더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
우주는 지금도 엄청난 속도로 계속 팽창하고 있다.
우주의 가장자리와 그 너머에 대하여는 과학자들이 별로 말을 하지 않는다.
어떤 이는 우주 끝에 가면 다이 반대쪽 끝과 연결된다고 하는데 그 사람도 가보지 못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말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우주는 작았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축구공(또는 그 보다 작은)한 크기에서 폭발하면서 현재 우주가 탄생했다고 한다.
이를 빅뱅이라고 표현하는데, 이 용어는 원래 우주가 빅뱅하여 탄생했다는 이론을 비꼬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빅뱅을 할 경우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위에서 본 원자의 실제 모양과 원자핵의 크기를 생각할 때, 만약에 전자가 없고 핵만 모인다면 우주가 아주 작은 덩어리일 수도 있겠다.
독수리 성운입니다.
성운은 별이 폭발한 잔해인데, 이러한 먼지구름이 다시 중력으로 뭉쳐지면서 별이 탄생합니다.
독수리 성운의 기둥 높이만 무려 9광년에 이러는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아하 그렇구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내시경을 하다. (0) | 2010.07.05 |
---|---|
크다와 작다, 많다와 적다(3) (0) | 2010.06.29 |
크다와 작다, 많다와 적다(1) (0) | 2010.06.04 |
마우스 오른쪽 버튼 사용불가 해제하는 법 (0) | 2009.12.10 |
백업(backup) (0) | 2009.09.02 |